매년 여름이면 비를 동반한 강한 바람인 태풍이 우리나라를 지나가거나 관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태풍들은 사회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많은 피해를 남겼던 루사, 매미, 힌남노 등의 역대급 태풍들은 사람들의 기억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늘은 태풍 이름 정하는 방법 및 2023년 태풍 이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태풍 이름 정하는 방법
태풍 이름 짓는 방법은 아시아 태풍 위원회에서 아시아의 14개 국가로부터 10개씩 태풍 이름을 제출받아서 순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풍 이름은 각 나라의 동식물 이름이나 자연 현상들을 의미하는 말들입니다.
아시아 태풍 위원회에서 아시아 태풍 위원회에서아시아 태풍 위원회는 태풍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나라들이 태풍 관측과 재해 예방을 협력하기 위해 1968년 만들어진 조직입니다. 현재 아시아 태풍 위원회의 회원국은 대한민국, 일본, 홍콩, 북한, 캄보디아,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미국, 베트남,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마카오로 총 14개국입니다.
아시아 태풍 위원회의 회원국인 14개 국가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한민국 : 개미(Kaemi), 나리(Nari), 장미(Changmi), 수달(Sudal), 노루(Noru), 제비(Chebi), 너구리(Noguri), 고니(Koni), 메기(Megi), 나비(Nabi)
- 일본 : 덴빈(Tambin), 우사기(Usagi), 간무리(Kammuri), 곳푸(Koppu), 도카케(Tokage), 야기(Yagi), 가지키(Kajiki), 구지라(Kujra), 곤파스(Kompasu), 와시(Washi)
- 홍콩 : 카이탁(Kai-tak), 마니(Man-yi), 퐁윙(Fung-wong), 초이완(Choi-wan), 망온(Ma-on), 산산(Shanshan), 링링(Lingling), 야난(Yanyan), 팅팅(Tingting), 바냔(Banyan)
- 북한 : 기러기(Kirogi), 도라지(Toraji), 갈매기(Kalmaegi), 매미(Maemi), 메아리(Meari), 소나무(Sonamu), 버들(Podul), 봉선화(Pongsona), 민들레(Mindulle), 날개(Nesat)
- 캄보디아 : 돔레이(Damrey), 콩레이(Kong-rey), 나크리(Nakri), 크로반(Krovanh), 사리카(Sarika), 보파(Bopha), 크로사(Krosa), 마이삭(Matsak), 찬투(Chanthu), 네삿(Nesat)
- 중화인민공화국 : 돔레이(Damrey), 콩레이(Kong-rey), 나크리(Nakri), 크로반(Krovanh), 사리카(Sarika), 보파(Bopha), 크로사(Krosa), 마이삭(Matsak), 찬투(Chanthu), 네삿(Nesat)
- 라오스 : 볼라벤(Bolaven), 파북(Pabuk), 판폰(Phanfone), 켓사나(Ketsana), 녹텐(Nock-ten), 찬홈(Chan-hom), 남테우른(Namtheun), 맛사(Metsa), 힌남노(Hinnamno)
- 미국 : 마리아(Maria), 프란시스코(Francisco), 히고스(Higos), 오마이스(Omais), 로키(Roke), 우토(Utor), 차타안(Chataan), 아타우(Etau), 아이에라이(Aere), 비센티(Vicente)
- 베트남 : 사오마이(Saomai), 레끼마(Lekima), 바비(Bavi), 콘손(conson), 손카(Sonca), 차미(Trami), 할롱(Halong), 밤코(Vamco), 송다(Songda), 사올라(Saola)
- 필리핀 : 빌리스(Bilis), 다나스(Danas), 하구핏(Hagupit), 루핏(Lupit), 탈라스(Talas ), 시마론(Cimaron), 하기비스(Hagibis), 임부도(Imbudo), 말라카스(Malakas), 탈림(Talim)
- 태국 : 프라피룬(Prapiroon), 비파(Wipha), 멕클라(Mekkhala), 니다(Nida), 콜라브(Kulap), 두리안(Durian), 라마순(Rammasun), 모라콧(Morakot), 차바(Chaba), 카눈(Khanun)
- 말레이시아 : 절라왓(Jelawat), 서팟(Sepat), 루사(Rusa), 멀로(Melor), 머르북(Merbok), 룸비아(Rumbia), 타파(Tapah), 낭카(Nanka), 머란티(Meranti), 마와(Mawa)
- 미크로네시아 : 이위냐(Ewiniar), 피토(Fitow), 신라쿠(Sinlaku), 니파탁(Nepartak), 난마돌(Nanmadol), 솔릭(Soulik), 미톡(Mitag), 소델로(Soudelor), 라나님(Rananim), 구촐(Guchol)
- 마카오 : 잔쯔(Chanchu), 우딥(Wutip), 봉퐁(Vongfong), 파마(Parma), 무이파(Muifa), 버빈카(Bebinca), 와메이(Vamei), 린파(Linfa), 말로우(Maiou), 산우(Sanvu)
2023년 태풍 이름
2023년 태풍 이름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산우(Sanvu)'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정해집니다.
2023년 태풍 이름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태풍 순서 | 제출한 나라 | 태풍 이름 |
1호 | 마카오 | 산우(Sanvu) |
2호 | 말레이시아 | 마와르(Mawar) |
3호 | 미크로네시아 | 구촐(Guchol) |
4호 | 필리핀 | 탈림(Talim) |
5호 | 한국 | 독수리(Doksuri) |
6호 | 태국 | 카눈(Khanun) |
7호 | 미국 | 란(Lan) |
8호 | - | 도라(Dora) |
9호 | 베트남 | 사올라(Saola) |
10호 | 캄보디아 | 담레이(Damrey) |
11호 | 중국 | 하이쿠이(Haikui) |
12호 | 북한 | 기러기(Kirogi) |
13호 | 홍콩 | 윈욍(Yun-yeung) |
14호 | 일본 | 고이누(Koinu) |
15호 | 라오스 | 볼라벤(Bolaven) |
16호 | 마카오 | 산바(Sanba) |
17호 | 말레이시아 | 즐라왓(Jelawat) |
18호 | 미크로네시아 | 에위니아(Ewiniar) |
19호 | 필리핀 | 말릭시(Maliksi) |
20호 | 한국 | 개미(Gaemi) |
21호 | 태국 | 프라피룬(Prapiroon) |
22호 | 미국 | 마리아(Maria) |
23호 | 베트남 | 손띤(Son-tinh) |
24호 | 캄보디아 | 암필(Ampil) |
25호 | 중국 | 우쿵(Wukong) |
실시간 태풍 정보 등 태풍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항공 모바일 탑승권 발급 방법 총정리! (21) | 2023.08.22 |
---|---|
자동차 정기검사 총정리! (유효기간/검사기간/과태료/예약/비용/준비물) (22) | 2023.08.21 |
티웨이 항공 국내선 셀프 체크인 총정리 (24) | 2023.07.21 |
티웨이 항공 온라인 체크인 총정리! (18) | 2023.07.20 |
에어부산 무료 수하물 알아보기 (기내 휴대, 위탁수하물) (28)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