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장려금3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재산요건 중 전세금에 대해 알아보기 (간주전세금)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국세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원금 제도입니다. 오늘은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요건 중 재산요건, 그중에서도 임차보증금인 전세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재산요건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신청자를 포함하여 세대원 전원의 재산의 합계액이 2.4억 미만이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심사 대상에 해당하는 재산은 다음과 같으며,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 토지 및 건축물 승용자동차 주택 및 주거용 오피스텔 전세금 상가 임차보증금 현금 이자소득을 발생시키는 예금, 적금, 저축성보험, 부금, 예탁금 등 배당소득을 발생시키는 집합투자기구의 금융 재산 배당소득을 발생시키는 파생결합사채 또는 파생결합증권 아파트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 토지상환채권 및 주택상환채권 골프회.. 2023. 7. 16. 2023년 자녀장려금 지급액 인상 자녀장려금 제도는 2015년부터 국세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양육비 지원제도입니다. 오늘은 저소득 가구의 양육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2023년 개정된 자녀장려금 지급액 인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장려금 지급액 인상 취지 2023년 개정된 자녀장려금 지급액 인상의 취지는 저소득 가구의 양육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 자녀장려금 지급액 인상 개정 내용 - 홑벌이 가구의 경우 총급여액등 개정전 자녀장려금 개정후 자녀장려금 (2023) 2,100만원 미만 자녀 1인당 70만원 자녀 1인당 80만원 2,100만원 이상 ~ 4,000만원 미만 70만원 - (총급여액등 - 2,100만원) × 1,900분의 20 80만원 - (총급여액등 - 2,100만원) × 1,900분의 30 - 맞벌이 가구의 경우.. 2023. 7. 8. 자녀 장려금 기한 후 신청하기! (신청조건/신청기간/지급시기) 자녀장려금(CTC : Child Tax Credit)은 가구의 소득과 부양자녀 수에 따라 일정 요건이 만족하면 현금을 지급하여 근로 및 출산을 장려하는 제도로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자녀장려금은 반드시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으므로, 오늘은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 대상자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 대상자는 자녀장려금 신청 요건을 갖춘 사람 중 정기 신청 기간( 5월 1일 ~ 5월 31일)에 신청하지 못한 사람이 대상자입니다. 자녀장려금 신청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양자녀 요건 : 자녀장려금은 배우자의 유무와 상관없이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양자녀는 주민등록표상 동거가족으로 18세 미만이며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 2023.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