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세금20 은행 CD/ATM기에서 쉽게 국세 납부하는 방법 2가지 (계좌이체, 신용카드 납부) 국세계좌번호나 전자납부번호만 있으면 가까운 은행 CD/ATM기에서 쉽게 국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세무서를 방문하지 않고 은행에서 쉽게 국세를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은행 CD/ATM기에서 국세 계좌이체로 납부하기 먼저 가까운 은행 CD/ATM기에서 국세를 계좌이체로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CD/ATM기 화면에서 [계좌이체]를 선택합니다. 금융기관 선택을 [국세]로 선택합니다. [국세계좌번호]를 입력하고 납부를 진행하면 됩니다. 국세 계좌이체 시 필요한 '국세계좌번호'는 고지서나 납부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혹시 모를 경우는 세무서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국세계좌는 모든 은행에서 이체 수수료 없이 이용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단, 인터넷 은행 및 증권사, 편의점은 국세납부가 .. 2023. 7. 27. 사업자등록증 상호 변경 3가지 방법 (세무서 방문, 홈택스, 손택스 앱) 사업자등록증 상호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자등록증 상호 변경하는 방법 사업자등록증 상호를 변경하는 방법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무서에 방문하여 변경 홈택스에 접속하여 변경 휴대폰 손택스 앱에 접속하여 변경 1. 세무서에 방문하여 사업자등록증 상호 변경하기 세무서에 방문하여 사업자등록증 상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시 필요한 서류는 대표자 본인이 방문할 경우는 대표자 본인 신분증과 기존의 사업자등록증이 필요하며, 대리인이 방문할 경우에는 추가로 위임장과 방문하는 사람의 신분증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인허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업자의 경우는, 상호가 변경된 인허가증도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2. 홈택스에 접속하여 사업자등록증 상호 변경하기 홈택스에 접속하여 간.. 2023. 7. 26. 부동산 계약 파기 위약금 세금 신고 방법 금리 인상으로 하락세를 겪고 있던 부동산 경기가 요즘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멈췄다'는 기사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부동산 상승장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부동산 계약 파기에 대한 위약금의 세금 신고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매도자가 부동산 계약 파기 시 위약금 세금 신고 처리부동산을 계약한 후 매도자가 계약을 파기할 경우, 매도자는 당초 받았던 계약금(가계약금)의 2배를 매수자에게 돌려주게 되어 있습니다. 이를 '배액배상'이라고 하며, 매도자가 배액배상할 때에는 세금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부동산을 파는 사람인 매도자의 의사로 계약을 파기하고, 당초에 받았던 계약금(가계약금)과 동일한 금액의 위약금을 지급할 때 세금 신고 처리 방법입니다. 매도자는 위약금에 대해서는.. 2023. 7. 22. 2023년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에 대해 알아보기 (신고기간/납부세액계산방법/납부면제)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를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눕니다. 일반과세자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규모 사업자인 간이과세자는 신고 기간 및 납부세액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오늘은 2023년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 기한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1년에 1번 확정 신고하고 납부합니다. 간이과세자는 2023년 귀속분(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의 매출과 매입을 다음 해인 2024년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단, 폐업자의 경우는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로부터 폐업일까지의 매출과 매입을 폐업일이 속하는 다음 달 25일까지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 2023. 7. 21. 이전 1 2 3 4 5 다음